이기적인 방역 ; 살처분·백신 딜레마 oleh 윤 종웅

이기적인 방역 ; 살처분·백신 딜레마 by 윤 종웅 from  in  category
Kebijakan Privasi
Baca menggunakan
(Harga tidak termasuk 0% GST)
Penulis: 윤 종웅
Kategori: Family & Health
ISBN: 9791197148989
Ukuran file: 99.49 MB
Format: EPUB (e-book)
DRM: Applied (Requires eSentral Reader App)
(Harga tidak termasuk 0% GST)

Ringkasan

2019 한국방송대상 우수상, 2020년 미국 휴스턴영화제 플레티넘, 2020년 뉴욕영화제 우수상 휩쓴 MBC 다큐멘터리 ‘살처분, 신화의 종말’ 완결판! 뇌과학자 정재승 추천!

살처분 일변도의 방역정책, 과연 이대로 좋은가?

코로나19는 우리 사회를 급격히 바꿔 놓았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많은 사람이 하루빨리 백신이 개발되기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pandemic)이 발생하기 전에는 인플루엔자가 인간에게 가장 큰 위협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사망하는 사람이 수천 명에 이른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조류 인플루엔자가 변이를 일으켜 또다른 팬데믹이 될 확률은 매우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염병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명목으로 ‘살처분’이라는 카드만을 사용해왔다. 이 책에서는 가축의 살처분이 언제, 어떻게 시작됐고, 어떠한 이유로 방역의 표준이 됐는지, 그리고 과연 살처분만이 최선의 방법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은 즉시 격리된다. 인간은 격리로 끝나지만, 동물은 격리로만 끝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축 전염병 예방법」 제20조에 따라 가축에 대한 살처분을 집행한다. 1종 가축 전염병, 즉 우역, 우폐역, 구제역, 돼지열병, 아프리카 돼지열병 그리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걸렸거나 걸렸다고 판단되면 해당 지역은 물론 그 주변 지역까지 살처분이 신속하게 집행되는 것이다.
대량 살처분을 결정하는 밑바탕에는 ‘구제역은 아주 위험한 질병’이라는 인식과 동물의 질병에 대한 사람의 방역 논리가 숨어 있다. 인간의 건강이나 목숨이 위협을 받기 때문에 질병이 발생한 원인을 뿌리부터 없애야 한다는 것이 현재의 가치관인 것이다.
오늘날과 같이 가축을 대량으로 사육하는 방식하에서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농가의 생산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축산 산업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행해지는 오늘날의 살처분 방식이 최선이라 여겨진다. 하지만 살처분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농가의 피해, 살처분된 가축의 처리 문제, 환경오염 문제 등)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도대체 이 방법을 언제까지 사용할 것인지’, ‘좀 더 근본적인 대책은 없는지’를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금번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백신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게 됐다. 질병에 걸린 동물을 덮어놓고 죽이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굳이 동물의 존엄성을 운운하지 않더라도 동물의 질병에 대처하는 인간의 자세는 다시 한번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동물의 질병은 인간의 생명과도 직결된다. 동물의 바이러스가 변형을 일으켜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이 책의 저자는 코로나가 전 세계적으로 창궐하는 시점에서 동물의 질병을 대하는 우리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지적하면서 우리의 인식에 오래전부터 고착화돼 있는 ‘동물의 질병=살처분’이라는 등식을 과감히 버리고 좀 더 미래지향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 저자 소개
김 영 수
MBC 충북 프로듀서. 2006년 입사해 주로 사회나 환경 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와 시사, 교양 프로그램을 연출했다. 2011년 다큐멘터리 을 연출해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우수상, MBC계열사 작품경연대회 금상, 유럽의 에코탑(EKOTOP) 세계 환경영화제 슬로바키아 시장 상을 수상하고,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알자지라(Aljazeera) 필름 페스티벌 공식 상영작 선정의 영광을 누렸다.
2013년 MBC 충북 재직 중에 카이스트 과학저널리즘 대학원에 진학해 석사논문으로 를 집필했다.
2018년 다큐멘터리 을 연출해 가축 전염병으로 생기는 살처분 문제와 동물의 백신 사용에 대한 논의 등을 촬영하고 방송했다. 동물에 대한 죽음과 방역에 대한 새로운 시선으로 2019년 한국 방송대상 우수상, 방송문화진흥회 지역방송대상 금상, MBC 계열사 작품 콘테스트 금상을 수상했다.
2020년에는 해외에서도 작품을 인정받아 2020 휴스턴 국제영화제(WorldFest Houston) 다큐멘터리 부분 플래티넘, 뉴욕국제영화제(International NewYork Film Festival) 다큐멘터리 부분 우수상, 유로필름페스티벌(Euro Film Festival Geneva) 공식 상영작, 암스테르담 국제영화제(Amsterdam World International Film Festival) 공식 상영작으로 선정됐다. 현재 경기대 언론미디어 학과에서 코로나 방역과 관련된 박사 논문을 준비 중이다.

윤 종 웅
농장 위생/방제 전문기업 ‘팜쉴드’ 대표이자 현직 한국가금수의사회 회장. 서울대 수의학과를 졸업하고, ROTC 수의장교로 전역한 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조류질병학 석사를 마쳤다. 이후 쉐링푸라우, MSD 동물약품, 바이엘 코리아 등 해외제약사에서 마케팅과 영업을 담당했고, 가금 분야의 현장 수의사로 20여 년간 활동했다. 2012년 이후 반석 LTC에서 가금농장 현장컨설팅과 농식품부 연구사업 책임연구자로 활동했다. 2014년부터 가금 현장에서 닭진드기와 살충제에 관한 연구를 시작해 결국 농장전문 위생/방제라는 영역을 만들고 창업해, 현재 ‘팜쉴드’의 대표를 맡고 있다. 안전한 축산물 생산과 전염성질병에 대한 현장대응을 주제로 계속 연구 중이다.
2016년 이후 대한수의사회 산하 직능단체인 한국가금수의사회 회장직을 연임하고 있다. 2016년 경기도와 전국을 휩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해 백신 정책 도입을 주장해 현재 국가에 인플루엔자 백신 항원 뱅크를 구축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후 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백신과 관련한 농식품부 정책연구와 역학조사 부분의 연구사업을 수행하며 현장의 소리를 대변하고 있다. 2018년 가축방역에 대한 공로로 농식품부장관상과 경기도지사 표창을 받았다.


■ 추천사
|정재승 (뇌과학자, ‘과학콘서트’ ‘열두발자국’ 저자)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에서 ‘글로벌이슈: 식량 생명 질병’이라는 수업을 오랫동안 진행하면서 가축 사육의 비가시성에 대해 강하게 문제 제기했다. ‘우리가 매일 먹는 고기가 어떻게 키워지고 끔찍하게 죽어서 내 식탁까지 올라오게 되는지 보게 된다면, 우리가 이토록 고기를 많이 먹으려 애쓰지 않을 텐데’ 라는 생각에서다.
비위생적인 사육공간, 살처분의 폭력성, 동물 백신에 대한 오해 등 과도한 육식문화를 지탱하기 위한 인간 사회의 폭력적인 행태들은 반드시 환기해야할 전지구적 이슈들이다.
우리 대학원 졸업생 김영수 PD가 이 수업에서 영감을 얻어 다큐멘터리를 만들었고, 이 작품이 훌륭한 상들을 모조리 휩쓸더니, 이렇게 근사한 책으로까지 묶여져 나왔다. 여간 자랑스러운 학생이 아니다.
그는 이 책에서 살처분와 동물 백신에 대해 우리 사회의 잔인한 치부를 드러내고, 동물복지에 대해 도전적인 문제 제기를 한다. 눈 밝은 독자들이 두루 이 책을 읽고 토론하고, 책을 통해 깨달은 바를 삶 속에서 구체적인 실천으로 옮겼으면 좋겠다. 일독을 강하게 권한다.

|박범순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 인류세 연구센터장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우리는 도대체 왜 이런 일이 발생했고 왜 지속되며 언제 끝날 수 있을지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마음대로 다니지도 만나지도 못하고 생존을 위해 절제와 규율 속에 산다. 만약 소, 돼지, 닭과 같은 가축의 입장에서 이 상황을 바라보면 어떨까? 가축들은 동병상련을 느낄 것이다. 구제역, 돼지독감, 조류독감 등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병에 잘 걸리고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락다운lockdown의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한 가지 큰 차이는 전염병이 돌거나 그런 징조가 보이면 가축들은 살처분이라고 하는 집단 살육을 당한다. 생명체이지만 재산 또는 재물에 불과한 그들은 이렇게 처리된다.
살처분은 언제 어떻게 시작했는가? 이것이 모든 국가가에서 시행되는 유일한 방책인가? 인간이 백신에 희망을 걸고 있듯이, 가축들에게 백신을 사용하면 안되는가?
이 책의 저자들은 이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을 뒤지고 여러 나라의 학자와 농민을 만나보았다. 그러면서 저자들의 질문은 철학적이 되었다. 우리에게 동물은 무엇인가? 우리는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고 사는가? 우리는 지구에게 무슨 짓을 하고 있는가? 동물에게 법적 지위를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인간중심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인간너머의 관점에서 세상을 볼 필요가 있는 지금 이 시점에 이 책은 불편하지만 중요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천명선, 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
사육 중이던 돼지의 98%를 살처분해서 매장했다는 한 지역의 축산농민과 공무원, 수의사를 인터뷰했던 것은 2011년 구제역 사태가 끝난 후 1년이 넘게 지난 시점이었다. 그러나 당시의 고통은 그대로 남아있었다. 인간과 동물의 고통은 별도의 것이 아니었다. 그 두 방식 자체가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을지라도, 살처분이라는 방역의 극단적인 방식이 집약적인 대규모 축산과 만났을 때, 한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렇다면 우리에게는 가능한 새로운 방식을 찾을 의무가 있다. 언론인의 눈으로, 그리고 현장을 겪은 수의사의 눈으로 바라본 방역의 방식과 대안을 담은 책이 출간된다는 것은 이런 노력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해답을 찾으러 길을 떠나던 김영수 피디와의 만남과 백신의 필요성을 조근조근 설명하던 윤종웅 수의사와의 대화를 기억한다. 아직은 모순되고 정리되지 않은 많은 가능성들이, 누군가에게는 어쩌면 불편한 의견들이 새로운 방역의 방식을 찾기 위해 모두 논의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 인간과 동물은 감염병의 위험과 고통을 앞으로도 함께 겪게 될 것이라는 것을, 올 한 해 코로나-19로 변한 세상을 겪으면서 우리는 새삼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 용기 있는 저자들의 의미 있는 결과물에 박수를 보낸다.

|김기흥,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과학기술학 교수
코로나 2년차에 접어들면서 격리,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가 새로운 일상이 돼버렸다. 백신이 새로운 만능해결사로 떠올랐고 늦은 백신 도입에 관한 불만이 사회적 논란거리가 됐다. 또한 코로나19 발생 이후의 방역 방식은 시민의 생존, 생명권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더욱 명확해졌다. 김영수 PD와 윤종웅 수의사의 『이기적 방역: 살처분·백신 딜레마』는 이 시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10년의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한 신종 감염병이 인간과 동물의 삶에 미치는 파장이 엄청나다는 사실을 경험하면서 지금까지 관심의 영역 밖에 있었던 방역이 사회의 화두로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2015년 메르스의 확산은 신종 감염병이 사회 전반에 얼마나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지를 증명하기도 했다. 지난 20여 년의 질병 경험이 현재 코로나19에 대응한 방역의 기초가 된 것은 분명하다.
이 책은 살처분의 기원부터 백신의 효용성을 둘러싼 논쟁에 이르기까지 백신에 관련된 문제를 가감 없이 다루고 있다. 신종 감염병이 21세기 인류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이라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없다. 정책 결정자들은 이 책의 저자들의 제기하는 문제와 대안에 반드시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목차
들어가며

1. 구제역의 진실과 교훈_김영수
와치트리, 세계 최대 매립지를 가다
16세기 우역, 살처분 정책의 시작
구제역, 백신 논쟁의 발화점이 되다
‘구제역=살처분’ 등식의 성립, 영국의 혈통 종 사랑
섬나라 영국과 유럽 대륙 국가의 차이
구제역 살처분 프리 선언, 백신

2. 대중의 공포심이 불러온 비극_김영수
우리가 외면했던 것들
우리는 가축의 질병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여전한 미지의 영역, 조류인플루엔자
공포가 낳은 비극, 대량 살처분
혐오가 돼 버린 공포

3. 백신을 찾아서_김영수
구제역 예방 접종, 모르면 당연했을 이야기
생존과 존속의 문제, 백신
홍콩에서 만난 살아 있는 닭
홍콩의 백신 정책
우리나라의 상황

4. 동물복지의 쟁점_김영수
동물복지와 살처분의 상관관계
획일적 정책에 대한 동물복지 농장의 비판

5. 현장에서 바라본 조류인플루엔자_윤종웅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오해들
‘고병원성’이라는 이름에서 시작된 오해
살처분에 대한 오해들
백신에 대한 오해들
백신 정책과 관련된 궁금증들
근거 없는 공포에서 벗어나 감염병을 다시 바라보자

6. 남아 있는 과제_윤종웅
땅 밑은 괜찮은가? 10년 매몰지의 실체는?
우리가 동물을 바라보는 방식

나오며

Ulasan

Tulis ulasan anda

Direkomendasikan